문제
정수를 저장하는 덱(Deque)를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명령은 총 여덟 가지이다.
- push_front X: 정수 X를 덱의 앞에 넣는다.
- push_back X: 정수 X를 덱의 뒤에 넣는다.
- pop_front: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,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pop_back: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,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size: 덱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- empty: 덱이 비어있으면 1을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- front: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back: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deque 라이브러리 불러와서 해도 되긴 하지만 문제의 의도는 스택을 사용하는게 아닐까 싶어서 스택을 사용했다.
전에 커서 문제랑 비슷하게 2개의 스택을 만들어서 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했다.

이런 느낌으로다가.
내 코드
import sys
N = int(sys.stdin.readline())
deque1 = []
deque2 = []
for _ in range(N):
command =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.split()
if command[0] == 'push_front':
deque1.append(command[1])
elif command[0] == 'push_back':
deque2.append(command[1])
elif command[0] == 'pop_front':
if deque1:
print(deque1.pop())
elif deque2:
print(deque2.pop(0))
else:
print(-1)
elif command[0] == 'pop_back':
if deque2:
print(deque2.pop())
elif deque1:
print(deque1.pop(0))
else:
print(-1)
elif command[0] == 'size':
print(len(deque1) + len(deque2))
elif command[0] == 'empty':
if deque1 or deque2:
print(0)
else:
print(1)
elif command[0] == 'front':
if deque1:
print(deque1[-1])
elif deque2:
print(deque2[0])
else:
print(-1)
elif command[0] == 'back':
if deque2:
print(deque2[-1])
elif deque1:
print(deque1[0])
else:
print(-1)
한 번에 정답 맞춰버림.
반응형
'Problem Solve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백준 - 17298번 오큰수 (0) | 2024.03.12 |
---|---|
[Python] 백준 10799번 - 쇠막대기 (0) | 2024.03.11 |
[Python] 백준 1158번 - 요세푸스 문제 (0) | 2024.03.06 |
[Python] 백준 10845번 - 큐 (0) | 2024.03.06 |
[Python] 백준 1406번 - 에디터 (0) | 2024.03.06 |
문제
정수를 저장하는 덱(Deque)를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명령은 총 여덟 가지이다.
- push_front X: 정수 X를 덱의 앞에 넣는다.
- push_back X: 정수 X를 덱의 뒤에 넣는다.
- pop_front: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,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pop_back: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,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size: 덱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- empty: 덱이 비어있으면 1을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- front: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back: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deque 라이브러리 불러와서 해도 되긴 하지만 문제의 의도는 스택을 사용하는게 아닐까 싶어서 스택을 사용했다.
전에 커서 문제랑 비슷하게 2개의 스택을 만들어서 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했다.

이런 느낌으로다가.
내 코드
import sys
N = int(sys.stdin.readline())
deque1 = []
deque2 = []
for _ in range(N):
command =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.split()
if command[0] == 'push_front':
deque1.append(command[1])
elif command[0] == 'push_back':
deque2.append(command[1])
elif command[0] == 'pop_front':
if deque1:
print(deque1.pop())
elif deque2:
print(deque2.pop(0))
else:
print(-1)
elif command[0] == 'pop_back':
if deque2:
print(deque2.pop())
elif deque1:
print(deque1.pop(0))
else:
print(-1)
elif command[0] == 'size':
print(len(deque1) + len(deque2))
elif command[0] == 'empty':
if deque1 or deque2:
print(0)
else:
print(1)
elif command[0] == 'front':
if deque1:
print(deque1[-1])
elif deque2:
print(deque2[0])
else:
print(-1)
elif command[0] == 'back':
if deque2:
print(deque2[-1])
elif deque1:
print(deque1[0])
else:
print(-1)
한 번에 정답 맞춰버림.
반응형
'Problem Solve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백준 - 17298번 오큰수 (0) | 2024.03.12 |
---|---|
[Python] 백준 10799번 - 쇠막대기 (0) | 2024.03.11 |
[Python] 백준 1158번 - 요세푸스 문제 (0) | 2024.03.06 |
[Python] 백준 10845번 - 큐 (0) | 2024.03.06 |
[Python] 백준 1406번 - 에디터 (0) | 2024.03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