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
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.
- push X: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.
- pop: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size: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- empty: 큐가 비어있으면 1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- front: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back: 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내 코드
import sys
# f = open("testcase.txt", 'r')
# commands = f.readlines()
cnt = int(sys.stdin.readline())
queue = []
for i in range(cnt):
# for command in commands:
# command = command.strip().split()
command =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.split()
if not command:
break
if command[0] == 'push':
queue.append(command[1])
elif command[0] == 'pop':
if queue:
print(queue.pop(0))
else:
print(-1)
elif command[0] == 'size':
if queue:
print(len(queue))
else:
print(0)
elif command[0] == 'empty':
if queue:
print(0)
else:
print(1)
elif command[0] == 'front':
if queue:
print(queue[0])
else:
print(-1)
elif command[0] == 'back':
if queue:
print(queue[-1])
else:
print(-1)
# f.close()
주석은 test case 입력하기 귀찮아서 txt 파일 만든거 불러온거임.
잘 실행은 됐다.
맨 처음에는 pop하려고 del queue[0]을 사용했는데, 찾아보니까 그냥 pop(0)하면 되더라.
아예 dequeue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사람도 있었다.
반응형
'Problem Solve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백준 10866번 - 덱 (0) | 2024.03.11 |
---|---|
[Python] 백준 1158번 - 요세푸스 문제 (0) | 2024.03.06 |
[Python] 백준 1406번 - 에디터 (0) | 2024.03.06 |
[Python] 백준 1874번 - 스택 수열 (0) | 2024.03.05 |
[Python] 백준 9093번 - 단어 뒤집기 (0) | 2024.03.05 |
문제
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.
- push X: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.
- pop: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size: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- empty: 큐가 비어있으면 1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- front: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back: 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내 코드
import sys
# f = open("testcase.txt", 'r')
# commands = f.readlines()
cnt = int(sys.stdin.readline())
queue = []
for i in range(cnt):
# for command in commands:
# command = command.strip().split()
command =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.split()
if not command:
break
if command[0] == 'push':
queue.append(command[1])
elif command[0] == 'pop':
if queue:
print(queue.pop(0))
else:
print(-1)
elif command[0] == 'size':
if queue:
print(len(queue))
else:
print(0)
elif command[0] == 'empty':
if queue:
print(0)
else:
print(1)
elif command[0] == 'front':
if queue:
print(queue[0])
else:
print(-1)
elif command[0] == 'back':
if queue:
print(queue[-1])
else:
print(-1)
# f.close()
주석은 test case 입력하기 귀찮아서 txt 파일 만든거 불러온거임.
잘 실행은 됐다.
맨 처음에는 pop하려고 del queue[0]을 사용했는데, 찾아보니까 그냥 pop(0)하면 되더라.
아예 dequeue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사람도 있었다.
반응형
'Problem Solve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백준 10866번 - 덱 (0) | 2024.03.11 |
---|---|
[Python] 백준 1158번 - 요세푸스 문제 (0) | 2024.03.06 |
[Python] 백준 1406번 - 에디터 (0) | 2024.03.06 |
[Python] 백준 1874번 - 스택 수열 (0) | 2024.03.05 |
[Python] 백준 9093번 - 단어 뒤집기 (0) | 2024.03.05 |